이경재 경남도의원, “내수면 양식산업에 특화된 중장기 종합계획으로 침체된 상황 타파해야!”

  • 등록 2025.05.13 16:30:09
  • 댓글 0
크게보기

최근 10년간, 경남 내수면어업 성장 정체된 채 경쟁력 잃어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강찬희 기자 | 지난 13일에 열린 경상남도의회 제423회 임시회에서 농해양수산위원회 이경재(국민의힘, 창녕1) 의원이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경남 내수면 양식산업에 특화된 중장기 종합계획으로 침체된 상황을 타파하고 산업의 진흥을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경남 내수면어업의 2024년 전국 대비 생산량 비중은 8.6%로 10년 전보다(2015년 14.0%) 절반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남 내수면어업인의 60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전국 평균인 29.4%를 크게 상회하는 42%까지 치달으며 성장은 정체된 채 침체국면에 접어든 상황이다.

 

이경재 의원은 “현재 경남에서 내수면어업으로 귀어하는 인구는 전체 귀어인의 7.5%밖에 되지 않고, 내수면어업 중 양식부문은 3년 연속 귀어인이 단 한 명도 없었다.”며, “지금같이 성장동력을 잃고 침체된 상황에서는 반복적이고 관행적인 행정을 지양하고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지원방안으로 내수면 양식산업의 진흥을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경남도가 내수면 양식산업의 안정적인 생산기반 마련에 행정력을 집중할 것을 제안했다. 현재 중앙정부는 내수면 양식산업이 미래지향적 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4차 산업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양식시설과 대규모 단지 조성을 준비 중이다.

 

이에 경남도가 중앙정부의 현대화·규모화 관련 국책 사업에 적극적으로 임하면서 양식재해보험의 적용 대상 지역 및 재해대상 품목 확대를 정부와 함께 고민하는 등 정부 정책 방향과 궤를 같이하며 경남 내수면 양식산업의 기반을 다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내수면 양식산업 관련 전문 교육과 내실 있는 정착 지원 등 내수면 특화형 귀어·귀촌 정책으로 내수면 양식산업이 겪고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문제를 해소하고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박차를 가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 외에도 소비자 중심의 가공품 개발과 유통 구조 개선, 내수면 수산물을 활용한 축제 정례화 등 경남 내수면 수산물의 판로 확장과 소비 촉진에 대한 지원 필요성도 언급했다.

 

이경재 의원은 “높은 잠재력을 지닌 경남 내수면 양식산업이 경남의 미래먹거리 산업으로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내수면 양식산업에 특화된 중장기 종합계획의 수립·시행이 필요하다.”고 밝히며, “경남도의 내륙어촌이 다시 한번 희망과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경남도가 내수면 양식산업에 대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는 당부의 말로 발언을 마쳤다.

강찬희 기자 misoculture@naver.com
Copyright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