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기자 | 고양특례시가 공공건축물의 생애주기(Life Cycle) 전 과정에 걸쳐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추진한다.
이는 공공건축물의 공모 단계부터 설계, 시공, 운영까지 각 과정별로 발생할 수 있는 탄소를 체계적으로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공모 평가 기준에 ‘탄소저감 계획의 구체성 및 실현 가능성’을 명시하고 이를 주요 심사항목으로 반영할 방침이다.
공모단계에서는 설계 제안서 제출 시 재료 선택, 운반, 시공 공정 등에서 탄소 저감이 가능한 구체적 방안을 의무적으로 포함하도록 하고, 평가 시 이를 중점적으로 심사한다.
설계단계에서는 저탄소 건축자재(예: 재활용 자재, 저탄소 인증제품 등) 사용과 에너지 소비 저감형 설계(예: 고단열, 고기밀 설계, 자연채광 및 자연환기 극대화)를 기본 요건으로 권장한다.
시공단계에서는 건설장비 사용 최적화, 공정 통합관리 등을 통한 현장 탄소배출 최소화를 요구하며, 시공사와의 탄소관리 이행 협약 체결을 추진한다.
운영단계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설비 적용, 에너지 자립률 향상,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통한 실시간 탄소배출 관리체계를 도입한다.
또한, 재료의 생산, 가공, 운반, 설치 등 건축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숨은 탄소(Embodied Carbon)’까지 관리 범위를 확대해 완공 이후 운영단계에서의 에너지 절감뿐 아니라 건축물 자체의 탄소배출 총량을 대폭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울러 시는 물순환 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탄소 저감도 함께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상수도 사용 절감과 도시 열섬현상 완화 등에 효과적인 빗물저장시설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기후적응형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고양시 총괄계획가 이제선 교수는 “건축의 시작 단계부터 탄소저감을 고려하는 것은 탄소중립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필수적인 과제”라며 “공공건축물이 친환경·저탄소 건축의 선도모델이 될 수 있도록 사업 전 과정에 걸친 철저한 탄소관리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