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메뉴 바로가기
  • 본문 바로가기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제주

  • 유튜브
  • 페이스북
  • 카카오채널
  • 인스타그램
  • 네이버블로그
  • 회원가입
  • 로그인
  • 소개
    • 위원장 인사말
    • 조직도
    • 찾아오시는 길
  • 지역별
    • 서울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경북
    • 경남
    • 전북
    • 전남
    • 제주
  • 정부부처
    • 기관별
  • 지역핫뉴스
  • 오피니언
    • 기자수첩
    • 인터뷰
    • 칼럼
  • 소식알림
    • 공지
    • 조합보
    • 사업소개
  • 문의
    • 공익제보
    • 자유게시판알림
  • 국회
메뉴 검색창 열기

전체메뉴

닫기
  • 소개
    • 위원장 인사말
    • 조직도
    • 찾아오시는 길
  • 지역별
    • 서울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경북
    • 경남
    • 전북
    • 전남
    • 제주
  • 정부부처
    • 기관별
  • 지역핫뉴스
  • 오피니언
    • 기자수첩
    • 인터뷰
    • 칼럼
  • 소식알림
    • 공지
    • 조합보
    • 사업소개
  • 문의
    • 공익제보
    • 자유게시판알림
  • 국회

지역별

  • 서울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경북
  • 경남
  • 전북
  • 전남
  • 제주
  • 제주개발공사, CSR 심의위원회 내달 7일까지 공개모집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김성길 기자 | 제주개발공사(사장 백경훈)는 CSR 심의위원회 위원을 내달 7일까지 공개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CSR 심의위원회는 제주개발공사의 사회공헌사업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집행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될 수 있게 지원하는 공사 내부 위원회이다. 심의위원은 공사의 사회공헌사업 계획 심의, 사업계획의 타당성 및 공익성을 검토하여 지원여부를 결정하는 등의 역할을 맡게 된다. 심의위원 모집은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 공개모집 방식으로 진행되며, 이번 공모를 통해 환경ž문화ž인재 분야에 각 2명씩 총 6명 선발 예정이다. 양성평등기본법에 근거하여 성비 균형에 맞춰 위촉할 예정이다. 지원 자격은 사회단체 등에서 환경ž문화ž인재 분야 5년 이상 경험이 있거나, 해당분야 자격을 취득하여 3년 이상 경력이 있는 자이다. CSR 심의위원회로 위촉되면 2년간 제주개발공사 CSR 심의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게 된다. 자세한 사항은 제주개발공사 홈페이지 내 공지사항을 참고하면 된다. 게시된 공고문을 확인하고 지원서 작성 후 방문 또는 우편으로 접수하면 된다. &nb

    • 김성길 기자
    • 2025-06-25 18:11
  • 제주도, '안심수학여행' 전국 표준 모델로…수도권 이용 “껑충”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김성길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의 ‘안심수학여행서비스’가 올해 1학기 전년 대비 신청 학교와 이용 인원 모두 증가하며 전국 수학여행지 중 가장 신뢰받는 안전관리 모델로 자리매김했다. 2025학년도 1학기 전국 530개 학교에서 총 9만 2,639명의 학생이 제주 안심수학여행서비스를 신청했다. 학생들이 방문하는 숙박시설 563개소, 음식점 1,986개소, 체험시설 982개소 등 총 3,531개소가 사전 안전점검 대상이 됐다. 2024년 동기와 비교하면 신청 학교 수는 9.7%, 이용 인원은 6.5%, 점검 신청 시설 수는 36.4% 증가했다. 특히 체험시설 점검 신청은 313개소에서 982개소로 213.7% 대폭 증가해 학생 활동 공간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올 상반기 운영에서 수도권 지역의 수요와 반응이 특히 적극적이었다. 서울지역은 전년 동기 대비 이용학교 수 5.7%, 이용 인원 14.1%, 점검신청 대상 수는 21.3% 증가했다. 경기도는 학교 수 31.9%, 인원 35.1%, 점검신청 67.5% 늘었고, 인천지역은

    • 김성길 기자
    • 2025-06-25 13:30
  • 제주도, 로마에 울려퍼진 제주의 진혼(鎭魂)…제주4·3의 아픔과 화해를 노래하다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김성길 기자 | 제주4·3의 아픔과 화해를 담은 평화의 메시지가 이탈리아 로마에서 장엄한 레퀴엠으로 울려 퍼졌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4일 오후 7시(현지시간) 바티칸과 인접한 산타마리아 델리 안젤리 에 데이 마르티니 성당에서 ‘제주4·3평화레퀴엠 공연’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제주4·3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해에 마련된 이번 공연은 바티칸과 인접한 역사적 성당에서 열려 상징성을 더했다. 미켈란젤로가 설계에 참여한 성당에서 300여 명의 관객이 참석한 가운데 제주의 비극적 역사를 음악으로 승화시켜 평화와 화해의 메시지를 전 세계에 전달했다. 이날 선보인 ‘제주4·3평화레퀴엠’은 제주 출신 작곡가 문효진이 작곡한 현대 진혼곡이다. 가톨릭 레퀴엠 미사의 2,000년 전통 위에 제주 여성들의 애환이 담긴 자장가 ‘웡이자랑’과 제주바다, 집단적 상실의 기억을 결합했다. 미카엘 마르투시엘로(Michele Martuciello) 이탈리아 복스 인 아르떼(Vox in Arte) 협회 회장이 총기획을 맡았고, 제주 출신이자 4·3유족인 부종배 독일 오스나브뤼

    • 김성길 기자
    • 2025-06-25 13:30
  • 제주도교육청, 항일 유적지 탐방 통해 지역 역사교육 역량 높인다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김성길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오는 28일 도내 교원 40여 명을 대상으로 ‘2025 제주 항일운동 역사교육 직무연수’를 운영한다. 이번 연수는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역 역사교육으로 ‘제주 항일운동의 발자취를 찾아서’를 주제로 교원들이 지역별 항일 유적지를 방문해 항일운동의 흐름과 역사적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현장 중심의 답사형 연수다. 지난 14일 첫 일정에서는 서귀포시 대정읍 일대에 위치한 도순동 법정사, 동일리 강창규 지사 기념비, 서산사, 안성리 고사훈·김만석 지사 기념비, 하모리 오좌수 의거비 등을 탐방했다. 특히 일제의 탄압에 맞서 1918년 항거한 법정사 항쟁과 정미의병장으로 활약한 고사훈·김만석 지사의 독립정신을 되새기며 학교 현장에서 항일운동의 의미를 어떻게 전달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오는 28일에는 에는 제주시 구좌읍과 조천읍 일대에 위치한 하도리 오문규 지사 생가, 상도리 김문일 지사 생가, 해녀항쟁집결지 및 기념탑, 조천만세동산, 제주항일기념관, 여성 독립운동가 김시숙 지사의 묘소

    • 김성길 기자
    • 2025-06-25 12:30
  • 제주도교육청, 장애·비장애 학생 함께 성장하는 특수교육 역량 키운다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김성길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25일과 내달 15일 제주학생문화원에서 통합교육 담당 교원 250여 명을 대상으로 전문성 강화를 위한 통합교육연수회를 개최한다. 이번 연수는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인권 보호와 교원의 책무성 강화를 위해 매년 실시되고 있으며 올해는 김예원 장애인권법센터 변호사를 초청해‘다름과 함께 걷는 배움의 길 : 모두를 위한 통합교육의 실천’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한다. 김 변호사는 다양한 장애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통합교육의 가치와 실천 방안, 인식 전환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며 교원들은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례 중심의 전략을 통해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를 더욱 심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교육청 관계자는“이번 연수가 통합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되새기고 다양성과 포용에 대한 교원의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장애 학생에 대한 인식 개선은 물론 학교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지원 역량을 강화하는 데에도 의미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김성길 기자
    • 2025-06-25 12:30
  • 제주시교육지원청, 자녀와 함께하는 슬기로운 미디어 생활 방법은?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김성길 기자 | 제주시교육지원청은 25일 제주시교육지원청 대회의실에서 관내 초‧중학교 보호자 70여 명을 대상으로 행복교육 보호자 교실 ‘제2회 슬기로운 미디어 생활’을 운영했다. 이번 연수는 급변하는 디지털 교육환경 속에서 보호자의 역량을 강화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성장하는 자녀를 이해하며 가정 내 효과적인 미디어 교육 실천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본 연수는 분기별 1회, 연 4회 운영되며 이번 회차는 지난 3월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됐다. 연수에서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게임, 사회관계망서비스, 웹툰 등 자극적인 디지털 콘텐츠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청소년의 특성과 중독 경향을 중심으로 강의가 이루어졌다. 특히 스마트폰을 통한 짧은 영상 등 즉각적인 만족을 유도하는 콘텐츠에 익숙해진 청소년들의 반응 성향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녀와의 소통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아울러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미디어 교육 방법도 함께 제시됐으며, 사전 질문과 현장 질의를 바탕으로 구성된 맞춤형 실천 전략을 통해 보호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공감과

    • 김성길 기자
    • 2025-06-25 12:30
  • 제주도교육청 서귀포산업과학고, 승마 실습 중심 교육과정 연수로 수업 전문성 키운다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김성길 기자 | 제주도교육청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는 내달 24일부터 오는 8월 4일까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소속 초‧중등 교원 20명을 대상으로 ‘2025 학교체육 승마 시범학교 교원 승마 연수(특수분야 직무연수)’를 운영한다. 이번 연수는 말의 습성 이해, 기승 안전 수칙, 기초 승마 기술 등으로 구성된 실습 중심의 교육 과정으로 하루 4시간씩 총 8일간(주말 제외) 운영되며 참가 교원들은 실제 기승 체험을 통해 학생 수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역량을 기르게 된다. 한국마사회의 예산 지원으로 운영되는 이번 사업은 서귀포산업과학고 자영말산업과 주관으로 진행된다. 특히 학교체육 승마 시범학교 교원 승마연수는 말산업 전문기관으로서의 축적된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 적용성과 실효성을 높인 연수로 평가받고 있다. 연수 신청은 오는 27일까지 담당 전자우편으로 2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한편 서귀포산업과학고 자영말산업과는 도내 유일의 말산업 특성화 학과로 국가자격증 취득 지원, 산업체 맞춤형 실습, 전문가 특강, 협력기관 연수 등 실무 중심 교육을 통해 산

    • 김성길 기자
    • 2025-06-25 12:30
  • 제주도교육청 제주과학고, 수평적 소통으로 건강한 학교 조직문화 만든다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김성길 기자 | 제주도교육청 제주과학고등학교는 23일 1학교 1청렴시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교직원 간 소통과 공감을 통해 건강한 조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학교장과 톡톡톡’ 활동을 운영했다. ‘학교장과 톡톡톡’은 교장실에서 간식을 나누며 정해진 주제 없이 교육활동의 어려움, 학교생활의 고민, 소통과 협력의 방법 등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바쁜 일상 속에서도 교직원들이 머리를 맞대어 학교 발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며 따뜻한 공감의 시간을 나누는 자리였다. 이번 활동은 교무방과후부와 교육연구부를 시작으로 전 부서를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확대 운영되며 대화를 통해 도출된 의견과 제안은 학교 운영에 적극 반영될 예정이다. 김창건 교장은 “앞으로도 교직원 간 수평적 소통 문화를 확산하고 서로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공동체로서의 소속감과 자긍심을 높이는 데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 김성길 기자
    • 2025-06-25 11:30
  • 제주도교육청 한림공고, 장애 학생들 달콤한 기부 통해 나눔의 가치 배우다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김성길 기자 | 제주도교육청 한림공업고등학교는 20일 교내에서 운영한 ‘일일 빵집’의 판매 수익금을 학대 피해 아동의 보호와 회복을 위한 활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제주특별자치도아동보호전문기관에 기부했다. 이번 일일 빵집 운영은 제31회 제주장애학생의 날을 기념해 마련된 행사로 특수학급 학생들이 머핀과 쿠키를 직접 만들어 전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교직원과 전교생을 대상으로 판매하는 실질적인 직업 체험의 기회를 가졌다. 특히 장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하고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사회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장애이해교육의 하나로 학생들이 실생활 속에서 나눔과 기부를 실천하는 뜻깊은 경험이 됐다. 참여한 한 학생은“판매가 처음이라 떨렸지만 친구들과 선생님이 응원해줘서 기뻤고 기부를 하게 되어 뿌듯했다”고 말했다. 이진승 교장은 “학생들이 직접 만든 제품을 판매하고 그 수익금을 사회에 환원하는 뜻깊은 경험을 통해 배움의 가치를 체감했다”며“앞으로도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이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장애이해교육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김성길 기자
    • 2025-06-25 11:30
  • 제주도의회, 제주 4·3 평화의 노래로 다시 태어나다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김성길 기자 | 제주 4·3의 아픔을 음악으로 승화시킨 ‘평화 레퀴엠 – 제주4·3을 기억하며’가 현지 시각 6월 24일 오후 6시 30분, 로마 교황청 소속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에 데이 마르티니 성당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공연은 “제주의 아픔, 세계의 평화로”라는 주제로 진행됐으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한동수 의원(제주4.3 평화 레퀴엠 추진위원장)의 사회로 막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이상봉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장, 하성용 4·3특별위원회 위원장, 고의숙·이승아·이정엽 도의원 등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냈다. 또한 김준구 주이탈리아 한국 대사, 김창범 제주4·3희생자유족회장, 천주교 제주교구 문창우 주교, 까를로 알베르토 앙골라 교황청 대사, 정연정 교황청립 로마한인신학원 원장, 무스레히너 다흐슈타인 디알로그 국제회의 의장, 피셔바흐 람사우 전시장, 알리체 카데두 독일정부 문화부 장관 특별보좌관, 불가리아 국영 라디오방송국 스토안 초하지에프 국제보도국장 등 각국 인사들도 함께 공연을 관람했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이상봉 의장은 “선종하신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 김성길 기자
    • 2025-06-25 11:30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포토리뷰

더보기
  • 이재명 대통령 "균형발전은 국가 생존전략…지방에 더 많이 지원"
  • 이소영 의원, 경기도 특별조정교부금 총 68억 확보
  • 대전시의회 조원휘 의장 “균등한 문화향유권 증진에 힘 보탤 것”

랭킹뉴스

더보기
  • 1

    행정안전부, 제21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선거일 투표 안내

  • 2

    영도구, 개학기 청소년 유해환경 민관합동 점검·단속 추진

  • 3

    전북교육청, 학교 관리자 인권리더십 역량 강화 교육

  • 4

    부산시의회 김형철의원 “수소충전소 판매가격, 부산시가 전국 최고가, 부산시 11개 수소충전소 간 수소 가격 차이 1kg에 2,200원, 부산시 대책 마련해야!”

  • 5

    이정재 세상을 떠난 지 ‘64주년’ 추모 행사 - 억울한 그의 행보 ‘진실’을 알고 싶다

  • 6

    연제구, 공공만화도서관 '연제만화도서관 만화자료 수집 공모전' 개최

  • 7

    【 기자수첩 】 우리의 자녀 교육은 언제부터 시작할까 “당신의 자녀 (EQ) 교육은 괜찮습니까”


실시간 뉴스

더보기
  • 2025-08-01 23:30

    이재명 대통령 "균형발전은 국가 생존전략…지방에 더 많이 지원"

  • 2025-08-01 21:50

    이소영 의원, 경기도 특별조정교부금 총 68억 확보

  • 2025-08-01 21:50

    대전시의회 조원휘 의장 “균등한 문화향유권 증진에 힘 보탤 것”

  • 2025-08-01 21:50

    국방부장관, K2 전차 2차 이행계약 서명식 참석

  • 2025-08-01 21:50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 기술탈취 근절을 위한 민·관 간담회 개최


  • 위원장 인사말
  • 조직도
  • 찾아오시는 길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책임자 : .김성길)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공익제보
  • 광고문의
로고

주소 :총괄본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입북동 448 / 경기본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성지로 42, 302호
사업자번호 609-82-87095 | 등록일 : 2004.11.24 | 발행인 : 김성길 | 편집인 : 유태균 | 전화번호 : 031-357-2266 ~ 0502-019-0112
Copyright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Corp.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ediaOn

UPDATE: 2025년 08월 01일 23시 30분

최상단으로
검색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