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TP, 에너지 선도기관들과 탄소중립 대응과제 논의

3일 RE100 및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효율화 세미나 개최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김성길 기자 | 제주테크노파크(원장 지영흔, 제주TP) 미래융합사업본부는 3일 지속가능한 에너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 발굴을 위해 국내 에너지 선도기관들과 함께 ‘RE100 및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효율화’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는 제주TP 에너지센터를 비롯해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전력공사, 한국RE100협의체 등 주요 에너지 기관들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지역의 RE100 이행을 위한 전략 과제와 협력방안들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졌다.

 

먼저 이도헌 제주TP 배터리산업팀장은 ‘전기차배터리산업화센터 운영 현황 및 산업 육성 계획’을 주제로, 전기차(EV) 사용 후 배터리 기반의 협력 모델과 에너지 효율화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 임상국 한국에너지공단 제주지역본부 부장은 ‘건물에너지 효율화 및 탄소중립정책’을 소개하며 제주의 중소·중견기업과 지자체가 관련 지원사업을 활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혁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다.

 

김정웅 한국전력공사 제주본부 배전망사업부 차장은 ‘분산에너지 확대에 따른 제주 전력 환경 변화와 대응과제’ 발표를 통해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인한 출력제어와 복잡한 운영환경 해소를 위해 분산자원을 실시간으로 감시·제어하는 적극적인 배전망 운영자(DSO)로 전환하고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활용한 계통 안전성 확보를 강조했다.

 

정택중 한국RE100협의체 의장은 재생에너지를 통한 RE100 산업 생태계 조성 과제로 1차산업 중심인 제주의 특성상 자가발전형 모델을 적용해 ▲전력구매계약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금융 지원 및 인허가 간소화 등을 제안했다.

 

장대교 제주TP 미래융합사업본부 본부장은 “이번 세미나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재생에너지 전환 확대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하는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제주형 RE100 산업 생태계 구축과 분산형 에너지 자원 확산을 위해 관련 산업·연구기관·공공기관이 함께하는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RE100은 ‘Renewable Electricity 100%’의 약자로,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2050년까지 태양광, 풍력, 수력, 지열, 바이오매스 등 재생에너지로 충당하자는 국제적이며 자발적인 약속을 의미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