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강찬희 기자 |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세계 바이오헬스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충남도가 바이오 의료기기산업 육성 거점을 마련, 가동을 본격 시작했다.
도는 11일 아산 배방에서 김태흠 지사와 오세현 아산시장, 도와 시의회 의원, 관계 기관 대표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의료종합지원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
천안·아산 연구개발(R&D) 집적지구에 자리잡은 지원센터는 총 52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 지상 5층, 연면적 6475㎡ 규모로 건립했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이 운영하는 이 지원센터는 각종 바이오 의료기기 평가실과 세포 시험실, 이화학 실험실, 동물 임상병리실 등의 시설에 67종 114대의 최신 장비를 갖추고 있다.
인공 피부·관절 등 재생·재건 의료기기, 로봇 팔다리 등 지능형 의지 보조기기, 자율주행 휠체어를 비롯한 의료용 자동 이동기기 등에 대한 평가 기반을 바탕으로 기업 제품 개발과 실증·평가·인허가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지원센터에는 KTL 바이오 분야 인력 60명이 근무한다.
도는 이번 지원센터가 지역 내 바이오 의료기기 인증·시험 인프라 부족 문제를 덜며 제품 상용화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를 통해 바이오 의료기기 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인근에서 내년 문을 열 의약품상용화센터와 연계해 지역 기반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 바이오헬스산업 글로벌 거점 도약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원센터를 통해 개발·검증한 혁신 바이오 의료기기 기술은 곧바로 의료 현장에 적용, 도민 건강 증진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개소식은 지원센터 소개와 충남바이오헬스산업 홍보 영상 상영, 기념의식, 센터 관람 등의 순으로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김태흠 지사는 “충남은 바이오헬스산업을 △바이오 의료기기 △수면산업 △휴먼마이크로바이옴 등 3개 방향으로 잡고, 연구개발 인프라를 꾸준히 확충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바이오 분야 국가 첨단 전략 산업 특화단지 지정도 추진 중이며, 2027년 바이오 의료기기 해외 진출 지원센터를 열어 바이오 기업들의 판로도 확대해 나아갈 계획”이라며 “충남은 바이오헬스산업을 50년, 100년 미래 먹거리로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