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지속적인 공기업 경영 분야 수상 쾌거”

상수도사업본부, 행안부 주관 6회 연속 최우수 경영평가에 이어 서울신문 주관 대한민국 공기업 경영대상 수상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조창제 기자 |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행정안전부 주관 '상수도 분야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에서 6회 연속 '최우수'라는 기록적인 성과에 이어, 서울신문사 주관 '제1회 대한민국 공기업 경영대상'에서도 '경영혁신 우수상'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미 본부는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1993년부터(2017년부터는 2년마다 평가) 시행하고 있는 ‘상수도분야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전국 광역상수도 9곳을 대상)’에서 6회 연속으로 ‘최우수’를 기록하고 있다.

 

이번에 새로이 수상한 '제1회 대한민국 공기업 경영대상'은 어제(22일) 서울신문사에서 주관한 행사로, 본부는 지역 공기업의 경영혁신과 사회적 책임 실천 우수사례로 '경영혁신 우수상'에 선정됐다.

 

특히 이번 시상은 ▲관리자 리더십 ▲재난·안전관리 ▲수돗물 품질관리 ▲경영혁신 등 주요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수질 검사 확대 ▲스마트 관망 관리시스템 도입 ▲품질관리 고도화 등 지속적인 혁신 노력의 결과로 보인다.

 

한편, 본부는 공공성과 기업성 사이에서 균형을 추구하는 지방 직영 공기업으로, 수돗물 생산비용의 지속 증가에도 불구하고 시민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맑고 깨끗한 수돗물을 생산해야 하는 처지에 놓여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상수도의 공공성을 유지하면서도 경영 합리화를 실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마트시티 기술’을 적극 도입 활용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본부는 올해 9월 수도사업본부장(환경부 주관) 회의 때 '인공지능(AI) 국가전략'에 부합하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상수도 스마트 관망 관리를 위한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R·D 실증사업)을 환경부에 제안, 우리시가 실증대상 사업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건의한 바 있다.

 

이 시스템이 구축될 경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수도 누수 지점을 미리 예측할 수 있어, 노후 상수도관 교체 등도 예산 투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수도 고유의 데이터(수압·수질·유량·관로 정보 등)가 지자체 및 구축 시스템마다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각각의 개별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어, 시 상수도에 ‘인공지능(AI) 기반의 상수도 통합플랫폼’을 먼저 실증하여 전국적으로 확대하고자 하고 있다.

 

김병기 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부산은 낙동강 하류 등 지형적 제약 속에서도 안정적인 수돗물 생산과 공급을 이뤄낸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라며, “이는 시민의 신뢰와 함께 전 직원이 취·정수 및 배·급수 전 과정에서 기울인 헌신적인 노력의 결실이며, 상수도사업본부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경영혁신을 통해 시민이 더욱 신뢰하고 만족할 수 있는 고품질 상수도 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