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김성길 기자 | 전남대학교는 5월 19일 오후 1시 30분, 대학본부 5층 접견실에서 광주교육대학교, 국립목포대학교, 국립순천대학교와 함께 지역과의 상생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AI 기반 교육 생태계를 중심으로 ‘1도 1국립대 공유대학 모델’을 구축하고, ‘글로컬대학30’ 등 국가 정책사업에 공동 대응함으로써 지역 혁신을 선도하자는 취지로 마련됐다.
협약식에는 전남대학교 이근배 총장과 김양현 교학부총장, 고성석 연구부총장, 이용균 교무처장, 이윤성 연구처장, 조진형 대외협력처장, 이경환 미래전략본부장을 비롯해 광주교육대학교 허승준 총장, 국립목포대학교 송하철 총장, 국립순천대학교 문승태 대외협력부총장 등 총 12명이 참석했다.
이날 4개 대학은 ▲글로컬대학30 사업 추진과 지역 혁신을 위한 협력 강화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역량 공유 및 거점 교육‧연구기관 역할 수행 ▲광주‧전남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협력 및 파트너십 구축 ▲신산업분야 공동 연구개발 ▲지역 맞춤형 취‧창업 활성화 등 다각적인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본 협약은 서명과 함께 즉시 발효되며, 향후 각 대학의 합의에 따라 타 기관의 추가 참여도 가능하도록 열어두어 유연한 협력체계를 이어갈 방침이다.
허승준 광주교육대학교 총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역사회에 기여하며, 국립대학으로서의 책무를 성실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송하철 목포대학교 총장은 “2040년이면 학령인구가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번 협약이 지역 문제 해결과 지역 발전의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승태 순천대학교 대외협력부총장은 “그동안 대학의 지역사회 기여는 주로 이론에 머물렀지만, 실질적인 실천은 부족했다”며 “이번 4개 대학의 상생 모델이 대학들의 적극적인 실천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근배 전남대학교 총장은 “지역을 대표하는 4개 국립대가 긴밀히 협력하는 것은 단순한 제휴를 넘어, 광주‧전남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공동으로 설계하겠다는 의미”라며 “앞으로도 지역과 함께 성장하고, 지역 혁신을 선도하는 국립대학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