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재해복구사업 추진 총력... 장마 대비 안전망 강화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김성길 기자 | 최근 여름철 집중호우 및 강풍 등 자연재해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도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재해복구사업의 조기 완료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이에 충청북도는 재해 발생 후 신속한 원상복구뿐 아니라 재발 방지 중심의 예방적 복구 및 안전점검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하기 전인 4월 30일부터 5월 23일까지 미준공 재해복구사업장에 대해 우기 대비 취약구간 우선 시공, 안전관리 실태 등을 사전점검했고 복구비 30억원 이상 재해복구사업장 15개소에 대해서는 행정안전부, 민간전문가와 합동점검을 실시했다.

 

2023년과 2024년 충청북도에는 집중호우로 인해 도로, 하천 등 공공시설 피해 2,436개소가 있었고 현재까지 2,380개소(97.7%)를 완료했다.

 

미완료 사업장 56개소 중 41개소는 연내 준공할 예정이며 수충부 호안 등 취약구간 및 주요공정을 우선 시공했다. 발생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기능개선을 추진하는 개선복구사업장 15개소는 ’26년 이후 준공이 가능함에 따라 통수단면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상준설을 실시하고 톤마대 등이 노후된 제방은 보강을 실시했다. 또한 주민대피계획 수립, 수방자재 및 응급복구장비 전진 배치 등 비구조적인 대책을 마련하여 재해복구사업장 피해재발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하천 관련 피해예방을 위하여 하천정비사업, 재해예방사업 등 하천 인근에서 실시하는 건설사업에 대하여 일제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충청북도 정진훈 자연재난과장은 “도민의 생명과 안전이 최우선이므로 재해복구사업이 완전하고 신속하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현장 중심의 관리와 점검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