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강찬희 기자 | 경상남도는 24일 산청군청에서 열린 ‘경남도‧산청군 호우피해 복구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했다.
이날 회의에는 박완수 지사를 비롯해 산청군수, 부군수, 도 및 군 실·국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복구 인력·장비 배치, 도로·하천 정비, 산사태 예방, 이재민 보호대책 등 현장 중심의 대응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박완수 도지사는 “현장의 어려움을 직접 듣고, 경남도가 신속히 지원하겠다”고 밝히고, “이재민 주거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며 주거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강조했다.
박 지사는 이날 회의에서 “현장에선 도와 시군이 한 팀처럼 움직여야 실질적인 복구가 가능하다”며, “경남도는 산청군의 요청사항을 적극 반영해 조속한 일상 회복이 가능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지사는 복구 추진과 관련해 △이재민 주거 문제 해결, △예비비 신속 투입, △인력‧장비 등 자원의 효율적 운영, △응급·항구 복구의 병행, △산지 개발행위 규제 검토, △복구 인력 온열질환 예방, △딸기 육묘장 등 지원 사각지대 대응 등을 중점 지시했다.
특히 “이재민 임시거처 마련이 가장 시급하다”며, “임시시설은 태풍 등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철저히 대비하라”고 주문했다. 또 “도 예비비를 즉시 투입해 응급복구에 총력을 기하고, 인력과 장비 등 가용 자원을 현장에 효율적으로 배분하라”고 강조했다.
도로‧산사태 복구에 대해서는 “응급복구와 항구복구를 구분해 투트랙으로 추진하고, 산림청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체계적으로 진행하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산지 훼손 지역에서 산사태가 발생했다”며, “향후 계곡·산지 개발행위에 대한 제한 등 제도 개선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장 인력 보호와 관련해선 “공무원과 자원봉사자 등 복구 인력이 온열질환을 겪지 않도록 예방 대책을 철저히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딸기 육종시설 피해는 국가 지원 대상이 아닌 만큼, 도 차원에서 지원 방안을 마련하라”고 덧붙였다.
경남도는 이번 호우 피해 지역에 대해 도-군 간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가용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신속한 복구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