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강찬희 기자 | 노인과 장애인 등 교통약자 광역 이동 지원이 더 신속·정확해진다.
도는 최근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충남협회를 ‘충청남도 광역이동지원센터 새 운영 기관으로 선정하고, △관제 시스템 고도화 △콜센터 운영 효율성 강화 △근무 환경 개선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광역이동지원센터는 이동이 불편한 고령자와 장애인, 임산부 등 교통약자의 시군 경계를 넘어선 광역 이동을 돕기 위해 가동 중이다.
365일 24시간 특별교통수단 신청 접수와 배차를 주요 업무로 추진하고 있다.
광역이동지원센터 등록 교통약자는 3만 2000여 명으로, 이들은 하루 평균 2000차례에 걸쳐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특별교통수단 234대와 휠체어 미 사용자용 바우처택시 120대를 이용하고 있다.
교통약자 이동 편의성 증대를 위해 광역이동지원센터는 우선 실시간 차량 위치 확인 및 배차 최적화가 가능하도록 통합 관제 시스템을 전면 개편한다.
이를 통해 교통약자들의 차량 대기 시간과 시군 간 이동 연계 공백을 줄이고, 긴급 상황 대응 능력도 한층 높여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동 지원을 실시한다.
콜센터 운영은 정보통신기술(ICT) 기술을 접목, 이용자 신청과 차량 배차를 간소화 하는 등 효율성을 높인다.
근무자 처우와 환경 개선도 추진한다.
기존 상담사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사무 공간을 재정비 하고, 인력은 적정한 수준으로 늘려 지속가능한 운영 체계를 구축한다.
최동석 도 건설교통국장은 “이번 새 위탁 기관 선정을 통해 광역이동지원센터의 질적인 도약과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고, 도내 교통약자들이 차별 없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기반을 강화하고 서비스를 개선해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광역이동지원센터는 앞으로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 광역 이동 서비스 품질을 높여 나아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