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구의회, 지속가능한 ‘대덕형 정책’ 제안

권역별 거점시설 모델·도시환경 전략 담은 연구용역 최종보고

 

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강찬희 기자 | 대덕구의회가 ‘지속가능한 대덕’을 위한 발전 전략을 제시했다.

 

구의회 도시재생 거점시설 연구회는 11일 대덕구청 대회의실에서 거점시설 활성화를 통한 지역발전을 주제로 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지역 특성과 기능에 맞춘 운영 방안을 발표했다.

 

연구회는 △신탄진-세대 통합형 △오정동-청년 시너지형 △대화동-다문화 포용·지역 커뮤니티 허브 등 권역별 기능과 역할에 집중한 모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단발성이 아닌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중간지원조직 구축 △전문적 기획·관리 체계 마련 △네트워크 확장·상호 협력 △민관협력형 운영 개념 도입 등이 함께 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무엇보다 거점시설의 안정적이고 투명한 운영과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선 물리적 기반 구축뿐 아니라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도시환경 연구회도 이날 최종보고회를 통해 지역의 지속 가능한 인구 유지를 위한 도시환경정책을 소개했다.

 

연구회는 특히, 연구 결과 도시기본계획과 연계한 청년 연령대별 양질의 일자리 공급과 정주환경 개선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이를 위한 추진 정책으로 △도시철도2호선 오정역과 연계한 복합 환승 거점 구축 △대전 조차장 입체화 사업 부지 일원 전문 연구개발·과학기술 기업 집중 유치 △중리동 노후 주거지 정비 사업을 통한 청년임대주택 조성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송촌·비래 청년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용전근린공원 특화 사업 △대덕특구 재창조를 위한 상서평촌지구 내 디지털 혁신파크 조성 △체험형 공장 지원을 통한 공업지역 문화복합개발 실현 등 정책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보고했다.

 

전석광 의장은 “오늘 발표된 각종 제언이 실제 정책과 조례 등으로 이어질 수 있게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겠다”면서 “앞으로도 지역발전과 구민 복리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연구 활동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