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강찬희 기자 | 충남녹색환경지원센터(주관기관 충남연구원)는 27일 K-water 대청댐지사에서 대청호 녹조 해결을 위한 전문가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충청권에 위치한 대전녹색환경지원센터, 충북녹색환경지원센터와 공동으로 주관하여 지역 내 민·관·학 전문가들과 시민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이번 행사에는 충청권 녹색환경지원센터를 비롯해 충남연구원, 금강유역환경청, 수자원공사 대청댐지사, 경기대학교, 사회적협동조합금강 등 민·관·학 전문가들과 시민단체가 참석해 지역 내 주요 식수원인 대청호의 수질개선과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주제 발표와 종합 토론 등을 가졌다.
상수원에서 녹조는 마이크로시스틴, 지오스민 등 독성물질을 생성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을 생성한다.
사람에게는 피부 가려움증이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2-MIB와 같은 물질은 수돗물에서 이취미를 유발해 식수 안전에 불안감을 높일 수 있다.
충청남도의 주요 상수원인 대청호는 최근 집중호우와 폭염 등 이상기후로 인하여 녹조가 확산되어 조류경보 경계 단계가 발령되는 등 수질관리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수온 상승으로 남조류가 급증하고 펜슬을 이용한 차단 및 확산 방지 장치가 가동되고 있으나, 근본적인 수질 오염 문제 해결과 기후변화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발표에 나선 금강유역환경청 허남덕 과장은 “여름철 수온 상승과 함께 집중 강우 시 상류에서 유입된 영양물질이 녹조 생장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때문에 금강유역 환경청에서는 오염물질 유입 저감을 위해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으며, 신속한 녹조 대응체계 마련과 관계기관 합동 녹도 방재훈련 등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K-water 장봉호 차장은 “수자원공사에서도 녹조 발생을 최소로 하기 위해 수역 내 불법경장 방지, 비점오염저감시설 운영, 생태습지 최적 운영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조류 경보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조류차단막, 물순환장치, 수면포기기 등을 구비하여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충남녹색환경지원센터 관계자는 “대청호 수질 관리를 위해서는 비점오염물질 관리가 중요하지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가축분뇨로부터의 수질 오염”이라며, “현재 가축분뇨는 비점오염원으로 편재되어 있지만, 강우시 지류 또는 본류로 그대로 유입되어 관리가 어려운 상황이다. 대청호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가축분뇨의 수질개선 산정방식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세미나 결과를 바탕으로 대청호 수질개선을 위한 공동연구주제 발굴 및 연구과제 제안이 진행될 예정이며, 중부권 녹색환경지원센터간 협업을 통해 대청호 수질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