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신문언론노동조합 강찬희 기자 | 광산구의회 경제복지위원회(위원장 김영선)가 지난 1일 청소년지도자들의 처우와 지위 향상을 위한 의견 청취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광산구청소년수련관을 비롯한 광주지역 청소년시설 관계자들과 광산구의원, 관계 공무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윤영일 의원(더불어민주당, 비아동·신가동·신창동)의 주재로 진행됐다.
청소년지도자는 ‘청소년기본법’에 따라 청소년 상담, 활동 지도, 위기청소년 보호 등의 공공서비스를 담당하는 핵심 인력이지만, 정규직 비율이 낮고, 급여 또한 여성가족부의 가이드라인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실제로 광산구의 한 청소년수련시설은 상근 인력이 5명인데 최근 3년간 무려 15명이 퇴사했으며, 광주 전체 청소년수련시설의 비정규직 비율이 39.7%인데 광산구는 임기제 포함 52%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청소년지도자들이 이직하는 주된 원인은 낮은 임금과 과중한 업무, 미래 비전 부재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립과 구립 시설 간 근무 조건과 급여·수당의 차이가 커서 형평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경험이 많은 지도자 대신 무경력자를 채용하게 되면서 위기청소년 상담 및 보호 업무에 필요한 전문성이 약화될 우려도 제기됐다.
참석자들은 청소년지도자의 처우개선을 위해 단일 임금체계의 단계적 도입, 인력구조 개선, 전문인력 안정적 확보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영일 의원은 “광산구는 광주에서 청소년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임에도 청소년지도자들의 처우는 매우 열악하다”며 “청소년지도자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이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처우개선 방안 마련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